엔비디아 급락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인 딥시크(DeepSeek)가 새롭게 선보인 고성능 AI 모델 '딥시크 R1'이 전 세계 증시에 커다란 충격을 불러일으키면서, 이를 둘러싼 다양한 기업들의 주가가 크게 흔들리고 있다.
특히, AI 및 반도체 업계를 선도하는 엔비디아(Nvidia)를 비롯하여 관련 기업들의 주식이 급락하는 등 상당한 파장이 발생했다. 이는 AI 및 반도체 산업에서 오랜 기간 형성되어 온 "수천억 원에 달하는 막대한 비용을 투자해야만 고성능 AI를 개발할 수 있다"는 기존의 통념이 딥시크의 등장으로 인해 크게 흔들리면서, 시장 전반에 걸쳐 불안감이 확산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현지 시간으로 29일, 엔비디아의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4.10% 급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지난 27일 딥시크의 AI 모델이 공개된 직후 나타난 급격한 하락세가 이어지는 양상으로, 당시 엔비디아의 주가는 무려 16.97%나 폭락했다. 이후 주가는 급등락을 반복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24일 대비 최종적으로 13.27% 하락한 상태로 마감했다.
이러한 급락세의 배경에는 '저비용 고성능' AI 모델이 시장에서 주목받게 되면, 기존의 첨단 AI 칩에 대한 수요가 자연스럽게 감소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자리하고 있다. 여기에 더해,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차기 행정부를 준비하면서 엔비디아의 중국 수출에 대한 추가 제재 가능성을 검토 중이라는 점도 투자 심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주가 하락을 더욱 부추긴 요인으로 작용했다.
딥시크발 충격
이것은 단순히 엔비디아 한 기업에 그치지 않았다. 반도체 업계 전반이 영향을 받으며, 관련 기업들의 주가가 일제히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주문형 반도체(ASIC)를 공급하는 대표적인 기업인 브로드컴(Broadcom)과 마벨 테크놀로지(Marvell Technology)의 주가는 같은 기간 각각 15.67%와 13.89%씩 하락했다. 또한, 오픈AI(OpenAI) 및 소프트뱅크(SoftBank)와 함께 새로운 AI 합작사인 '스타게이트(Stargate)' 설립을 추진하고 있는 오라클(Oracle) 역시 11.75% 하락했다.
AI 산업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주목받아온 전력 기기 및 인프라스트럭처 관련 기업들도 예외는 아니었다. 미국의 대표적인 전력관리 기업인 이턴(Eaton)의 주가는 13.92% 하락했고, 전력망 설계·조달·시공(EPC) 기업인 콴타서비스(Quanta Services)는 무려 16.82%나 하락했다. 또한, 에너지 장비 제조업체로 잘 알려진 GE 버노바(GE Vernova) 역시 15.99% 급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글로벌 증시의 급락세가 이어지면서, 설 연휴가 끝나고 오는 31일 개장하는 한국 증시 역시 상당한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국내 반도체 업계를 선도하는 SK하이닉스는 그동안 엔비디아에 고대역폭 메모리(HBM)를 사실상 독점적으로 공급하며 큰 수혜를 입어왔다. 이에 힘입어 올해 들어 SK하이닉스의 주가는 29.09% 급등하며 국내 반도체주 상승을 이끄는 역할을 했다. 그러나 이번 딥시크발 충격으로 인해 투자 심리가 위축되면서 반도체 관련주들이 조정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현재 엔비디아에 HBM3E 품질 테스트를 진행 중인 삼성전자와 엔비디아의 공급망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한미반도체 역시 이러한 시장 변동성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국내 전력 인프라 및 전선 업계의 주요 기업들인 HD현대일렉트릭, 효성중공업, LS일렉트릭, LS에코에너지, 대한전선 등도 조정 국면에 접어들 가능성이 있다.
이번 반도체 업계의 주가 급락의 원인은 딥시크가 AI 모델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기존의 첨단 AI 칩이 아닌, 엔비디아의 저사양 AI 가속기인 ‘H800’을 활용하여 개발 비용을 대폭 절감하는 데 성공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딥시크 R1의 개발 비용은 단 557만 달러(약 80억 원)로, 이는 메타(Meta)의 최신 AI 모델인 '라마3(Llama 3)'의 개발 비용과 비교했을 때 10분의 1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단기적으로 볼 때, 이처럼 저비용으로도 첨단 AI를 개발할 수 있다는 사실이 입증되면서, 기존 AI 반도체 시장의 성장성이 둔화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이는 자연스럽게 HBM 시장의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다만, 딥시크가 사용한 H800과 같은 저사양 칩에는 이전 세대의 HBM이 탑재된다는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HBM 시장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고 있는 삼성전자의 경우 오히려 새로운 기회를 맞이할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엔비디아는 최신 AI 가속기인 블랙웰 B200(Blackwell B200)에는 180Gb 용량의 HBM3E를 탑재할 예정이지만, H800에는 80Gb 용량의 HBM3 메모리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딥시크발 파장이 단기적으로는 반도체 및 AI 관련 기업들의 주가 하락을 불러왔지만, 중장기적으로는 고성능컴퓨터(HPC)용 반도체 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딥시크는 R1 모델을 오픈소스로 전 세계에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으며, 이를 통해 엔비디아의 RTX 3090 칩을 장착한 일반 컴퓨터에서도 해당 AI 모델을 내려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는 AI 기술의 대중화를 앞당기면서 관련 산업 전반에 걸쳐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가능성이 있다.
이번 딥시크 사태는 단기적인 변동성일까? 엔비디아 급락이 한국 시장으로 투자자들을 유입하게 하는 기회가 될 것인가.
'뉴스앤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한길 왜 이러는 건가요? (0) | 2025.02.03 |
---|---|
무순위 줍줍 영끌 결과 똘똘한 한채냐 개인회생이냐 (1) | 2025.02.03 |
AI 국력 꼴지 대한민국 어쩌다가 회복은 가능할까 (0) | 2025.02.01 |
테일러 스위프트와 블레이크 라이블리 (0) | 2025.01.31 |
윤석열 대통령 탄핵 재판부의 최종 판단 (0) | 2025.01.24 |
댓글